컴퓨터 & IT

“당신이 컴퓨터로 뭘하는지 다 알고있다”

즐거운 츄리닝 2010. 8. 1. 20:53

한국일보 | 입력 2010.08.01 17:29 | 수정 2010.08.01 19:39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프로그램들이 부지불식간에 깔린다. 그리고 이런 추적 프로그램을 통해 정보들이 수집ㆍ축적돼 판매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0일 개인의 인터넷 행적을 상업적으로 거래하는 '스파이 사업'이 심각한 사생활 침해를 유발하지만 어떤 제재도 없이 급성장 중이라고 지적했다.

WSJ이 전문가와 함께 직접 미국의 50개 인기 사이트에 접속해 조사한 결과 발견한 추적 프로그램은 모두 3,180개나 됐다. 한 사이트당 평균 64개 꼴로, 개인정보가 어떤 동의도 구하지 않은 채 마구잡이로 유출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가장 많은 사이트는 딕셔너리닷컴으로 234개였고, 메신저 이용자가 많은 엠에스엔닷컴(207개), WSJ(60)도 악성코드를 가지고 있었다. 조사 대상 중 깨끗한 사이트는 비영리 사이트 위키피디아가 유일했다. 보통 사용자들이 광고를 볼 때나 관련 패치 등을 받을 때 프로그램이 생성되지만 단순히 사이트에 들어는 것만으로 설치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추적 프로그램은 특정 홈페이지를 접속할 때 빠른 접속을 위해 생성되는 '쿠키'나 '플래시 쿠키', '비콘'을 통하는데, 일단 사이트에 접속하면 그 컴퓨터에 아이디 넘버가 깔리고 그 후 인터넷 이용 행위들이 모두 정보로 축적된다. 진화한 기술인 '비콘'의 경우 키보드로 어떤 글을 적는지, 마우스로는 무엇을 클릭하는지 까지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내용은 소비자 성향을 분석하는 자료로, 보통 1,000명당 1달러 정도에 기업체나 광고회사에 팔리고 있다.

스파이 사업 관계자들은 "정보들이 이름을 적시하지 않고 코드번호로 암호화되어 거래되기 때문에 사생활 침해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름이 노출되지 않더라도 건강이나 취향 등 민감한 개인의 정보가 고스란히 누군가에게 전해진다는 데에 우려가 크다. 실제 WSJ과 인터뷰한 한 여성 사용자도 17세 때 다이어트에 관심이 많아 포털 야후에서 관련정보를 자주 찾아봤었는데, "아직도 인터넷에 접속할 때마다 다이어트회사 광고가 뜬다"며 "섬뜩하다"고 말했다.

광고업체들은 효율적인 마케팅을 위해 사용자에 맞춤광고를 하는 쪽으로 변하는 추세이며, 이에 맞춰 스파이 사업도 진화하고 있다. 인터넷 추적은 쿠키가 도입된 1994년부터 가능했지만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법은 기술의 발달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는 이런 정보수집이 불법이 아니며, 자료의 이용 한계를 규정짓는 법률도 없다. 대형 포털도 법적 제재가 없다 보니 이런 상황을 알면서도 수수방관하고 있다. 존 클라인버그 코넬대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당신이 만약 온라인에서 무언가 하고 있다면, 마치 공공장소에서 하듯이 행동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채지은기자 cje@hk.co.kr

[ⓒ 인터넷한국일보(www.hankooki.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